경제지표와 주가 사이에 상관성이 높은 것들이 많지만, 그것들을 투자전략에 활용하기엔 어려운 점이 주가가 먼저 선행되고 나중에 경제지표가 따라온다는 점이다. 게다가 공식 경제지표들은 보통 한달 후 쯤에야 발표되는 경우가 많으니, 경제지표들을 전망이나 가공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건 뒷북 투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
1. 일 평균 수출 금액
코스피 주가는 우리나라의 수출금액과 비슷하게 움직이는데, 상관계수가 0.86에 달한다.
일평균수출금액 확인방법
https://www.bandtrass.or.kr/customs/total.do?command=CUS001View&viewCode=CUS00101
[수출입통계] 총괄
검색결과 : 0건
www.bandtrass.or.kr
TRASS에서 수출입통계에 들어가서 수출통계를 확인 할 수 있다.
그래프모양의 아이콘을 눌러주면 그래프로도 확인할 수 있다. 수출통계는 코스피와 유사하게 움직이긴 하지만, 코스피의 주가가 수출통계보다 먼저 움직이는데다가 수출공식통계는 한달 늦게 나온다.
수출지표 투자에 활용
후행적인 수출데이터를 그대로 적용하기 보단, 전망치를 확인한다던가, 아니면 차트상으로 이평선을 기준으로 상승이냐 하락이냐에 베팅하는 전략을 써야 할 것 같다.
일단 차트상에서 이동평균선보다 수출이 밑에 있으면 상승할 것으로 예상,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으면 하락할 것으로 1차적으로 예상한다음, 발표되는 전망을 확인해 본다.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67594&issus=M&pp=20&datecount=&pg=
2022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 및 하반기 전망 | 국내연구자료 | KDI 경제정보센터
한국무역협회는 「2022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 및 하반기 전망」를 발표하였다. - 올해 수출은 전년 대비 9.2% 증가한 7039억 달러, 수입은 16.8% 증가한 7185억 달러, 무역수지는 147억 달러 적자를 기록
eiec.kdi.re.kr
그래서 차트 예상과 발표되는 전망이 같은 방향으로 제시된다면 그에 따라서 코스피 지수 ETF에 투자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일 평균 수출금액으로 보면 현재 적정지수는 2,700정도 된다고 한다. 그런데 앞으로 수출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하니 아직 지수 하방은 열려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2.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선생지수 순환변동치란 앞으로의 4~6개월 경제전망치를 나타낸다. 펀드매니저들은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감소하면 기술주, 경기관련주를 줄이고 통신주를 늘린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확인방법
e-나라지표에 들어가면 경기종합지수를 볼 수 있고 그곳에서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를 확인할 수 있다.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57
경기종합지수
경기종합지수
www.index.go.kr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투자에 활용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숫자 그대로 투자전략에 활용하기엔 어려운 것이, 수출지표와 같이 한달 늦게 공식발표가 나온다는 점과 지표산출에 이미 주가가 반영되어 있기에 , 차트분석과 팩터가 중복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시장에서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를 참고하는 플레이어들이 있다는 점에서 살펴봐야할 의미가 있다. 추세를 보고 포트폴리오에서 섹터마다의 비중을 조절하는 요소로써 사용가능 할 것 같다.
3. 실업률
실업률이 10개월 이동평균보다 높으면 경기침체로 보고, 주식 비중 줄이고 현금 비중 올리기
미국실업률 확인 방법
https://www.tradingview.com/chart/?symbol=FRED%3AUNRATE
Civilian Unemployment Rate (FRED:UNRATE) — Historical Data and Chart — TradingView
Free economic data, indicators & statistics. Civilian Unemployment Rate from FRED.
www.tradingview.com
위 링크에 들어가서 Indcators를 눌러 준후 moving Average를 검색해서 선택해 준다.
그리고 나온 이동평균선을 더블클릭해주면 설정창이 나오는데, Length를 10으로 설정해주면 10개월 이동평균선이 된다.
4. 강환국 경제지표 백테스트
한국, 미국 시장금리가 오를때 한국주식을 사자. 물가(소비자, 생산자, 수출, 수입물가)가 내리면 한국주식이 오른다. 환율이 내리면(원화가 강해지면) 한국주식이 오른다. 수출증가율과 무역수지가 증가하면 한국 주식이 잘나간다.
금리 - 한미 5년채,10년채 금리가 전월대비 상승하면 각각 0.5점 아니면 0점
물가 - 소비자, 생산자, 수출물가가 전월대비 하락하면 각각 0.33점, 아니면 0점
환율 - 환율이 전월대비 내리면(원화강해지면) 1점, 아니면 0점
무역 - 수출증가율과 무역수지가 전월대비 증가하면 1점, 아니면 0점
평균가동률 - 제조업 평균가동률이 전월대비 증가하면 1점 아니면 0점
3점 이상일때 주식보유 1.5점 이하일때는 하락장.
경제지표 투자에 활용.
마켓타이밍을 잡는데에 활용 될 수 있다. 시장상황이 상승장일때 투자로 돈을 벌 수 있다. 때문에 현재 시장상황이 무엇인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동평균선과 같은 차트 분석, 상대모멘텀같은 지표 뿐 만아니라 경제지표들도 활용하면 대하락장에서 손실폭을 줄이는데에 도움이 될 것 같다.
'주식 > 재테크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 가입전 알아야 할 사항 (세액공제를 위한 원천징수영수증 확인) (0) | 2022.10.14 |
---|---|
[전략] 모멘텀 (1) | 2022.09.17 |
[전략] 팔아야 할 주식 (내부자 거래) (0) | 2022.09.16 |
[가치투자] 흑수저에서 경제적 자유를 이룬 가치투자방법 (디피) (1) | 2022.09.15 |
포인트 모아 리츠주식 사기 (KB, 신한, NH, 우리 포인트) 포인트 받는 방법, 현금화 방법 (2) | 2022.09.08 |
댓글